재활용 분리배출

재활용 분리배출 안내

단독주택 · 빌라 · 소규모 상가 배출 방법

투명페트병비닐은 매주 목요일에 배출해주세요.

목요일 배출
투명페트병 (음료,생수)
투명페트병
투명·반투명 봉투 또는 백색 그물망에 담아 배출
배출방법
  • 비우고 헹구기
    비우고 행구기
  • 라벨 제거
    라벨 제거
    라벨을 꼭
    제거해주세요
  • 찌그러트리기
    찌그러트리기
비닐 (색상·종류 무관)
투명페트병
투명·반투명 봉투에 담아 배출
배출방법
  • 비우고 헹구기
    비우고 행구기
  • 부피 줄이기
    부피 줄이기
그 외 요일
일반 플라스틱, 캔류, 병류
(유색페트병)
일반 플라스틱, 캔류, 병류

※ 지정요일 외 품목 배출시, 수거되지 않습니다.
※ 그 외 품목(유색페트병, 일반 플라스틱, 캔류, 병류 등)은 월, 화, 수, 금, 일에 녹색 그물망에 담아 배출해주세요.

재활용품 품목별 처리 방법

일회용품 사용안내
여러분의 실천이 있다면 폐기물도 자원이 됩니다.
매장(카페 음식점 등) 내 사용제한 품목
  • 합성수지 컵

  • 플라스틱 빨대

  • 나무젓가락, 이쑤시개

  • 접시 용기

  • 수저, 포크, 나이프

  • 비닐식탁보

※ 2023.11.24. 字로 식품접객업, 집단급식소에서 종이컵이 규제대상에서 제외됨 → 플라스틱 컵만 규제대상!!
종이류/종이팩류
이물질을 제거하고 배출
재활용 가능
종이류
종이팩류

품목

신문지, 종이박스, 책자, 노트 등

종이팩(음료수, 우유팩 등), 종이컵

배출요령

물기에 젖지 않게 묶거나 박스류에 담아서 배출
종이 제질의 컵라면 용기 배출 시에는 이물질이 제거 될 수 있도록 물로 행군 후 배출

내용물을 비우고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물로 행군 후 압착하여 배출

재활용되지 않는 종이류
다른 재질과 혼합된 종이
  • 영수증

  • 금박지, 은박지

  • 벽지

캔류/고철류

캔, 고철 수거함으로 배출해주세요.

금속캔
철캔, 알루미늄캔 (음료 · 주류캔, 식료품캔)
  • -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
    - 이물질 제거

    - 뚜껑은 재질에 따라 배출

기타 캔류 (부탄가스, 살충제용기 등)
  • 화재의 위험이 높은 제품으로,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비운 후 따로 모아 배출

고철류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한 후 봉투에 넣거나 끝으로 묶어서 배출합니다.
  • 고철
    - 공구, 철사, 못 등

  • 비철금속
    - 알루미늄, 스텐류 등

유리병류

재사용과 재활용을 꼭 구분합시다.

재사용(빈병 보증금 제도)
재사용(빈병 보증금 제도)
위와 같은 로고가 있다면 대형마트, 편의점 등 로고가 위치한 상품을 파는 소매처에서 보증금을 환급받을 수 있음.
  • 동일인 1회 방문 30병까지, 훼손 · 오염되지 않아야 함.
  • 건전하고 원활한 자원회수문화 정착을 위해 내 가족이 소비한 병만 반품하기
재활용
  • 품목 : 음료수병, 기타 병류
  • 배출요령 : 내용물을 비우고 병뚜껑은 재질따라 분리배출, 재활용을 위해 깨지지 않도록 주의
재활용되지 않는 유리류
깨진유리는 신문지에 싸서 태워서는 안되는 쓰레기 봉투에 넣어주세요.
  • 거울

    거울

  • 전구

    전구

  • 깨진유리

    깨진유리

  • 유리뚜껑

    유리뚜껑

  • 도자기류

    도자기류

  • 내열식기류

    내열식기류

  • 크리스탈 유리제품

    크리스탈
    유리제품

  • 유독물병

    유독물병

플라스틱류

투명 페트병과 분리배출

투명 페트병과 유색 페트병을 구분해서 배출
  • 품목 : 투명 페트병(생수, 음료수 등), 유색 페트병(플라스틱 용기류)
  • 배출요령 :
    1. 투명페트병을 경우 (비우고 행구기 → 라벨제거 → 찌그러트리고 뚜껑닫기)
    2. 유색페트병은 일반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
투명 생수병, 투명 음료수병은 여기

투명 생수병,
투명 음료수병은 여기

나머지 플라스틱은 여기

나머지 플라스틱은
여기

투명한 일회용컵, 과일용기도 일반 플라스틱입니다. (투명 페트병 아님)

나머지 플라스틱은 여기

※ 불투명 색페트병, 일회용 컵, 어린이 음료, 식품 포장용기, 양념류, 식용유, 요구르트 병 등

스티로폼

이물질이 묻어 있으면 재활용 불가

택배송장, 스티커, 라벨테이프는 반드시 제거후 배출합시다.
  • 품목 : 폐스티로폼 등
  • 배출요령 :
    1. 이물질(테이프 등)을 제거 후 배출
    2. 유색 스티로폼은 PP봉투에 배출
과일 포장재

과일 포장재

주방 스펀지

주방 스펀지

비닐 류

투명 · 반투명 봉투에 담아서 배출합시다.

이물질 제거하고 부피 줄여서 배출
  • 품목 : 과자 · 라면봉지, 커피믹스, 1회용 비닐봉투, 뽁뽁이(에어캡)
  • 배출요령 :
    1. 투명봉투에 비닐류만 따로 모아 배출
    2. 태워서는 안되는 쓰레기 봉투에 배출
헹구지 못한 경우

헹구지 못한 경우

식탁보, 은박비닐, 이불커버

식탁보, 은박비닐, 이불커버

분리배출 가능
과자/커피 포장 비닐
유색 비닐봉투
비닐장갑
페트병 라벨
음식재료 포장 비닐
일반쓰레기 보관하던 비닐
작은 비닐
오염물질이 제거된 비닐
에어캡
스티커 붙은 비닐
양파망
보온보냉팩(젤형태 보냉팩 제외)
분리배출 불가능
랩,노끈
icon
비닐은 비닐끼리 목요일에 배출

작아도 괜찮아요. 내용물은 비우고 따로 모아 분리배출

비닐

폐비닐 전용봉투가 없을 때는 일반 비닐봉투(투명 or 반투명)에 모아서 목요일에 배출

※ 문의사항 : 자원순환과 02-3423-5993

음식물 쓰레기 배출방법
  • 물기를 최대한 제거하기
  •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 음식물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음식물 쓰레기 수집용기에 배출
  • 소금성분이 많은 김치 · 된장 · 고추장은 물에 헹구어 배출
  • 통무, 통배추, 통호박 등 부피가 큰 채소 및 대파껍질의 경우 잘게 자른 후 배출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
  • 과일(귤)껍질

    과일(귤)껍질

  • 고추장, 된장

    고추장, 된장

  • 수박껍질

    수박껍질

  • 곡류

    곡류

  • 김치

    김치

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일반쓰레기들
일반쓰레기는 일반 종량제봉투에 넣어 배출합니다.
  • 동물뼈(닭뼈, 족발 등)

    동물뼈
    (닭뼈, 족발 등)

  • 단단한 껍질(호두, 파인애플)

    단단한 껍질
    (호두, 파인애플)

  • 어패류 껍데기(조개, 소라, 전복, 꼬막, 게, 굴등)

    어패류 껍데기
    (조개, 소라, 전복, 꼬막, 게, 굴등)

  • 티백

    티백

  • 한약 찌꺼기

    한약 찌꺼기

음식물 쓰레기와 섞이면 안되는 품목들
  • 병뚜껑

    병뚜껑

  • 나무젓가락

    나무젓가락

  • 종이

    종이

  • 금속류

    금속류

  • 이쑤시개

    이쑤시개

  • 유리조각

    유리조각

  • 비닐류

    비닐류

  • 고무줄

    고무줄

※ 어떤 쓰레기든지 배터리는 따로 분리해서 폐건전지함에 버리기
폐형광등·폐건전지 분리배출
  • 폐형광등에는 아연, 수은 등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일반쓰레기로 배출 시 환경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분리배출 필요
  • 폐건전지는 생활폐기물과 혼합배출될 경우 화재사고의 원인이 될수 있으므로 분리배출 필요
배출품목
  • 형광등 → 깨지지 않은 상태로 폐형광등 수거함에 배출
    ※ 깨진 형광등은 신문지에 싸서 종량제 봉투로 배출
  • LED
    분리배출 대상 LED (전구류)
    폐형광등 수거함에 배출
    • 직관형

    • 전구형

    분리배출 비대상 LED (조명류)
    생활폐기물로 배출
    → 불연성 봉투(pp봉투) 또는 대형폐기물 신고 후 배출
    • 십자형

    • 일자형

    • 평판형

    • 원반형

    • 직관형 : 형광램프용 안정기가 있는 형광등기구에 연결하여 형광램프와 호환해 사용하는 형태
      [표준명] 형광램프 대체형 LED램프(KC 10025) 등
    • 전구형 : 컨버터와 LED 램프가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구성된 형태
      [표준명] 컨버터 내장형 및 외장형 LED 램프(KSC 7651, 7652)
  • 건전지 → 제품과 분리 후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폐건전지 수거함에 배출
  • 충전용 보조배터리, 노트북 배터리, 퀵보드용/오토바이용 시동전지, 전동공구용 충전지 등
    → 폐건전지 수거함에 배출
배출장소
  • 수거함 위치
    - 강남구 자원순환 종합포털 ▷ 위치정보 ▷ 폐형광등 · 폐건전지 수거함
    일반주택
    아파트
    사업장

    주민센터 및 주택가 수거함에 배출

    아파트 내 설치된 수거함에 배출

    각층 바닥면적 합계가 1000이상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자 폐기물을 1일 평균 300kg이상 배출하는 사업장
    ▷ 민간재활용업체에 위탁

수거요일
  • 매주 목요일 (※ 수거량에 따라 탄력적 수거)
폐식용유 분리배출
  • 하수구로 폐식용유 배출 시 수질오염
  • 폐식용유 분리배출 시 재생경유, 바이오디젤 등으로 재활용 가능
수거함 위치
  • 강남구 자원순환 종합포털 ▷ 위치정보 ▷ 폐식용유 수거함
배출 시 유의사항
  • 음식물 등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모아 배출
  • 식물성 기름만 배출
    ※ 동물성 기름은 자체 처리